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공수처 소환에 응하지 않고 있는 윤 대통령, 저희 취재 결과 반격을 준비 중입니다. <br><br>올해가 가기 전에 그리고 앞으로 쭉 대국민 메시지를 직접 내는 방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탄핵심판에서 여론 지형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지지층 결집에 나서는 겁니다. <br> <br>손인해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윤석열 대통령이 이르면 이번 주 대국민 메시지를 내놓을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과 수사기관의 내란 혐의 수사 등에 대한 입장이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대통령 측 관계자는 "대통령이 현시점에 어떤 생각과 판단을 하고 있는지 직접 듣고 싶어하는 층이 분명 있다"며 "올해가 가기 전 첫 메시지가 나갈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메시지를 내는 형식은 방송 대신 본인의 SNS 글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. <br> <br>대통령은 지난 14일 탄핵소추안 통과 당일 방송 담화 이후 침묵하고 있고 석동현 변호사가 대신 입장을 전해 왔습니다. <br> <br>[석동현 / 변호사 (어제)] <br>"성탄절 이후에 대통령과 변호인단 쪽에서 정리된 입장을, 답을 내놓기 때문에…." <br> <br>대통령의 '메시지전' 참전 결정은 탄핵 국면에서 여론 지형이 중요하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이 때문에 일회성이 아니라 신년 메시지를 포함해 국면마다 지속적으로 대통령이 직접 메시지를 내놓는다는 구상입니다. <br> <br>헌법재판소 변론에 직접 나서는 안도 여전히 유효합니다. <br><br>국민의힘 한 의원은 "박근혜 탄핵 때 속수무책으로 당했다는 학습효과가 있다"고 했습니다. <br><br>여당도 여론전 차원에서 의원들의 방송 출연을 독려하고 있습니다.<br> <br>대통령 측은 "박근혜 탄핵 당시 여론지형이 100대0 수준이었다면 지금은 그때와 상황이 다르다"며 보수층 결집을 기대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손인해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br /><br /><br />손인해 기자 son@ichannela.com